백엔드/네트워크

[네트워크기초이론]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묘걍 2023. 9. 3. 19:49

"IP주소와 Net_mask"

IP주소

Host에 대한 식별자

사람으로 치면

- 대한민국의 행정 체계 내에 있는 한 사람(국민)을 유니크하게 식별하는 주민등록번호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

    - Protocol: 통신 규약(규정, 규칙)

버전

1. IPv4

     - 32bit 주소 체계를 씀

     - 나올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는 2^32 = 대략 43억

          - 인터넷이라는 세상은

             이 세계 속에서 그 세상에 참여할 수 있는 Host의 갯수가 43억개로 제한

          - 전세계의 모든 컴퓨터가 사용하는 IP가 43억개밖에 안될까?

              훨씬 많음, 43억개로는 부족함

                 그래서 다양한 방법과 기술로 커버

     - 현재는 IPv4를 가장 많이 씀 (IPv6를 쓰는 구간도 있지만 흔하지 않음)

2. IPv6

     - 128bit 주소 체계를 씀

IP주소 확인해보기

- Window의 경우 cmd 창을 열어 ipconfig 명령어 입력

- IPv4, IPv6, 서브넷 마스크 등을 확인할 수 있음

- 서브넷마스크는 넷마스크라고도 많이 이야기함

IPv4

- . 으로 구분되어 있다

    - .을 기준으로 나올 수 있는 숫자 값의 범위는 0 ~ 255 (=2^8) = 8bit이다

    - 8bit 4개가 모여 32bit

"IP주소는 8bit씩 끊어서 표시한다"

Net ID와 Host ID

- IP주소는 크게 둘로 나뉜다

IP주소 = Net ID + Host ID

- 길이: 32 중에 Net ID(24)라면 HostID(8)이 된다.

- IP주소에서 Network ID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Net mask

Net mask

- 255 = 0xFF = 1111 1111

- IP 주소와 net mask를 and 연산한 결과는 Network ID 부분만 그대로 나오고 Host ID부분은 0으로 나온다

       - Network ID = 192.168.60.0

- Net mask를 길게 쓸 수 없으니 뒤에 /하고 숫자로 표현

    → 이렇게 표기하는 용어를 뭐라고 할까?

 

 

출처: https://youtu.be/gOMljj6K2V0?si=bBwRvX7_PMd3K7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