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의 변화에 대해서

- 소켓 수준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는 Stream
- Stream 데이터를 잘라낸 하나가 Segment
- Segment가 L3로 내려가면서 IP Packet
- (인터넷은 Packet switching Network, 패킷 교환 네트워크)
- L2에서는 Frame
캡슐화
- Segment는 직소 퍼즐 하나
- Packet = 퍼즐 하나를 택배 박스에 담음
- Frame = 택배를 운송하는 트럭
- 트럭 한 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가지 않는다. 갈아탄다
- L3 패킷은 가만히 있는데
- 패킷을 통채로 인캡슐레이션한 Ethernet Header는 계속 바뀐다

- 최초 패킷이 Generate 됐을 때
- IP Packet을 감싸고 있는 Frame
- Ethernet 헤더가 붙음
Ethernet Header
- Source에서 Destination이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
1️⃣ 최초: PC 입장에서의 Gateway인 Router #1으로 (PC → R#1)
2️⃣ L2 구간을 지나 R#1에 도착하면 Ethernet 헤더가 떨어지고 새로 붙는다
3️⃣ R#2 에서 R#3로 감
- Packet자체는 달라진 게 업지만
- 감싸고 있던 Ethernet 헤더(아닐 수도 있음. 그렇다 치고)가 "R#1번이 보낸다 R#2번 받아라"
이런식으로 Ethernet Header가 붙었다 떨어졌다... 반복
4️⃣ 마지막 구간: R#5 → Server
* L2 구간을 통과할 때 마다 Header가 바뀐다!(새로 만들어짐)
- L2 구간을 지날 때는 MAC Address가 제일 중요해!!!
- IP주소는 주용하지 않아
- L2 스위치 자체가 MAC Address로 스위칭함
- IP수준에서는 목적지가 어딘지 신경 쓰지 않는다, MAC Address만 가지고 생각한다 (이게 뭔말이지...)
- MAC Address는 어떤 호스트 하나를 지날 때 마다 바뀐다
- L2 기준에서 기점 종점이 어딘가만 관심
"MAC Address가 유니크하다면, 인터넷에서 IP주소 말고 MAC 주소로 식별하면 안되나요?"
- MAC Address는 L2를 위한거지 L3를 위한 게 아니다
- IP주소와 MAC 주소는 체계가 전혀 다르다
- 인터넷에서 라우팅을 한다던가 경로를 찾는다던가 ... 할 수 없음
출처: https://youtu.be/7Hah81GBZ5g?si=yrb1bYZ2XyE5GXXL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33. 길 잃은 Packet의 소멸과 TTL (0) | 2023.10.24 |
---|---|
[네트워크기초이론]#32. L2 스위치와 ARP 작동원리 (1) | 2023.10.23 |
[네트워크기초이론]#27. TCP 연결, LAN선 뽑기 그리고 게임해킹! (0) | 2023.10.19 |
[네트워크기초이론]#26. TCP 연결이라는 착각에 대해 (0) | 2023.10.18 |
[네트워크기초이론]#24. Proxy의 활용 네 번째, Reverse Proxy (1)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