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2 스위치
"L2 스위치는 MAC Address(48bit)로 스위칭한다"
MAC주소 확인해보기
- 이 MAC address는 전 세계에 이거 하나라고 생각해도 됨
"네트워크는 스위치의 집합체이다."
L2의 두 가지 스위치
- Network Interface를 표현할 때 점을 강조해서 그림.
- 접점이 두 개 있을 수도 있음
L2 Access switch
- NIC에서 나와서 L2 Access라는 스위치에 연결됨
- 이 스위치에는 여러개의 PC가 연결될 수 있다.
- 이렇게 되면 PC1과 PC2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이용 주체인 Endpoint를 위한 스위치
- Endpoint들이 네트워크를 처음 만날 때 가장 먼저 만나는 스위치
- Endpoint와 맞닿은 스위치
- 방 하나에 비교할 수 있음
L2 Distribution Switch
- 보통은 L2 Access에서 L2 Distribution이라는 또 다른 스위치로 넘어간다
- 스위치를 위한 스위치
- Endpoint 가 바로 연결될 수도 있겠지만 보통은 스위치가 연결됨
- 여기에 또 다른 L2 Access switch가 연결되어 또 다른 PC들과 연결될 수 있다.
- 이렇게 되면 PC2와 PC3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 건물의 한 층에 비교할 수 있음
- 여러개의 방이 모여 한 층을 이룸
Router
- gateway 역할
- 건물 한 채를 비교할 수 있음
- 쉽게 설명하자면 그렇다는 거고 늘 그렇진 않음
- L3에 해당하지만 지금은 그 생각하지말고
주의할 용어
Uplink
- LAN 케이블로 Access와 Distribution이 연결될 때
트래픽이 더 높은/넓은 세계로 나갈 때(상향)
- 이것을 Uplink라고 부른다
- 상위 계층 스위치로 연결
Link-up / Link-down
- LAN 케이블이 연결되면 녹색 불이 들어옴
- 즉 연결되었다
- link-down은 연결이 끊겼다
아이콘
Port
정리
- L2 스위치는 MAC 주소로 스위칭 한다
- MAC Address는 48bits다
- Endpoint와 직접 만나는 스위치 = L2 Access Switch
- L2 Access Switch가 만나는 스위치 = L2 Distribution switch
- 이것들이 마지막으로 모이는 건 Router
- Router가 전체 PC들의 gateway
- uplink: 랜선들이 상향 연결되는 것
출처: https://youtu.be/y8rPmcYRsrk?si=9CeOQnyfSy2OGYkf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17. Wireshark의 내부구조와 작동원리 (0) | 2023.09.27 |
---|---|
[네트워크기초이론]#16. IP헤더 형식과 의미 요약 (0) | 2023.09.27 |
[네트워크기초이론]#14. 패킷의 생성 원리와 캡슐화 (0) | 2023.09.26 |
[네트워크기초이론]#13. LAN과 WAN을 구별하는 방법 (0) | 2023.09.25 |
[네트워크기초이론]#11. 웹 서비스 3대 요소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