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네트워크

[네트워크기초이론]#16. IP헤더 형식과 의미 요약

묘걍 2023. 9. 27. 16:34

Packet은 택배다

IP Header Format

MTU

- 1500까지

- 이론상으로는 65536까지 늘어난다

- 65536 = 2¹⁶ = 16bit로 표현 가능 = 64KB까지

- 하지만 2022년 인터넷은 여전히 MTU가 1500

- 큰 택배 박스에 물건을 많이 보내면 좋긴 하겠지만

 

Options

- 선택적.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고

- 주로 없음

- IP헤더라 하면 20bytes를 가지고 얘기함

 

Total length

- 패킷의 전체 길이

- 16bit

 

Version

- IP version

- 4bit

- 4 (IPv4)

 

IHL

- Internet Header Length

- 주로 5

- 32bit = 4 bytes

- 5(IHL) × 4(32bit) = 20bytes

- 6이 된다면 옵션이 있다는 것

 

TOS

- Type of Service

더보기

IP 패킷이 어떻게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필드입니다. 쉽게 말해, IP 헤더의 TOS 필드는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우선순위나 서비스 유형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TOS 필드가 널리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이 필드는 DSCP (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와 ECN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으로 재정의되었습니다.

- 대역폭 품질 관련

 

Identification, Flags, Frgment offset

- 단편화와 관련됨

      - 가끔 MTU가 1400밖에 안되는 애들이 있는데 걔네한테 1500을 보내버리면 수신을 못함

        그럼 1500을 1400보다 작게 두 개로 쪼갬

- 단편화가 되면 안 그래도 작은 패킷이 또 작아진다, 조립도 해야된다

-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TTL

- Time to Live

- Router들은 Packet을 유통한다

   (가끔 목적지를 못 찾아가거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Router들이 인접한 Router에 패킷을 전달한다

- 한 Router를 지날 때 마다 TTL 값이 1씩 감소한다

- TTL은 8bit = 2⁸ = 256가지 = 0~255

- Router를 255번 지나고 나면 0이 된다

- 0이 되면 Router가 그 Packet을 버린다

 

Protocol

- 4계층 헤더가 무엇이냐

- 이 값을 보고 뒤의 데이터를 값으로 볼건지

  TCP나 UDP 헤더가 또 나오는지 알 수 있다

 

Header checksum

- 전송 오류 있는지 없는지

 

IP주소

- Source address: 출발지 주소  (ex.192.168.0.10)

- Destination address: 목적지 주소 (ex. 8.8.8.8)

 

 

 

네트워크 공부 필수 프로그램

WireShark

https://www.wireshark.org/

 

Wireshark · Go Deep

Wireshark: The world's most popular network protocol analyzer

www.wireshark.org

- 16진수로 여러가지 정보가 나옴

 

강사님이 만든 프로그램

- GUI 적용

 

 

 

- 네트워크 공부할 때 16진수와 정규표현식 공부 필수!!

 

 

 

출처: https://youtu.be/9MPzEwZrRqo?si=nbpVk0Ep-wiBqe7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