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46

1011 스터디

1️⃣네트워크 요약 - 인터넷 접속은 IP로 하지만 도메인 주소를 보여준다 - 공유기가 DNS Forwarding기능을 제공한다 - ISP가 한 번 들어온 물음에 대해서는 그 정보를 메모리(DNS cache)에 들고 있다가 그 뒤로는 DNS에 묻지 않고 cache에 등록된 정보에 따라 응답 - 단편화로 인해 분할이 일어나며, 수신측에서 재조립을 해야한다. 단편화는 안 나는 것이 좋다 - 현대에는 단편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엄밀히 말하면 packet의 헤더는 IP header - IP payload속에 TCP header와 데이터 세그먼트가 들어있는 것이다 + gateway 주소 2️⃣SQL https://dev-study-501.tistory.com/156 [프로그래머스]아픈 동물 찾기 ❓문제 A..

[프로그래머스]아픈 동물 찾기

❓문제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 중 아픈 동물1의 아이디와 이름을 조회하는 SQL 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결과는 아이디 순으로 조회해주세요. 예시 예를 들어 ANIMAL_INS 테이블이 다음과 같다면 이 중 아픈 동물은 Miller와 Cherokee입니다. 따라서 SQL문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와야 합니다. INTAKE_CO..

[프로그래머스] 역순 정렬하기

❓문제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모든 동물의 이름과 보호 시작일을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결과는 ANIMAL_ID 역순으로 보여주세요. SQL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풀이 방법 고민해보기 보여지는 것은 이름과 보호 시작일 → select 부분에 순서는 ID의 역순 → Order by (desc)로 ..

Samtools, BAM파일, FASTQ 알아보기

원래 이전 게시글에 정리하려다가 너무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따로 정리했어요 이전 게시글 보러 가기👇🏻 https://dev-study-501.tistory.com/151 🎨 Samtools = BAM 파일을 다루는 툴이다 생물정보학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고 해석하는 학문 분야로, 이러한 데이터 분석에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툴이 사용됩니다. Samtools는 이러한 툴 중 하나로, 특히 DNA와 RNA의 시퀀싱 데이터를 다루는데 널리 사용됩니다. 👉🏻 생물정보학에서 주로 다루는 데이터 형식 SAM (Sequence Alignment/Map) 파일: DNA나 RNA 시퀀싱 데이터와 그 데이터가 참조 게놈에 어떻게 정렬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텍스트 형식의 파일입니다. BAM ..

[한주현님강의] 바이오파이썬 설치와 jupyter notebook에서 실행

Anaconda Prompt로 들어가 where python 명령어 실행 : 파이썬이 어디 설치되어 있는지 알려줌 더보기 where pip 명령어 실행 : pip라는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이 어디 설치되어있는지 알려줌 더보기 파이썬 실행 import Bio 설치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러남 pip install Biopython 설치 완료 다시 python으로 들어가 import Bio 해보면 잘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Bio.__version__ 설치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가 촬영된 3년 전에는 1.77이었다고 한다) Jupyter notebook에서 실행해보기 (주피터 노트북 오랜만이다..) New → Folder를 통해 알맞은 위치에 폴더를 생성한다 해당 경로에서 ..

[네트워크기초이론]#38. 서브넷팅 보강

https://code-lab1.tistory.com/34 [네트워크] 서브넷, 서브넷마스크, 서브넷팅이란? | 서브넷팅 예제 서브넷의 등장 배경 흔히 사용되는 IPv4 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 A 클래스를 할당한다고 하면 16,777,214개의 호스 code-lab1.tistory.com 서브네팅 → 주소 낭비가 생긴다 - 0번은 쓸 수 없다 - 1로 되어있는 것은 broadcast 주소이다 서브네팅 = 네트워크 분할 네트워크 분할을 왜 했지? 예를 들어 집이 하나 있다 - 60평인데 30평씩 둘로 나뉘어있다 - 현관은 하나다 - 각 공간에 한 가구씩, 두 가구가 산다 - 주소는 하나다 - 공간을 나눈 이유는 사적 공간을..

[네트워크기초이론]#37. 네트워크를 다시 또 내부로 자르는 서브넷팅

https://code-lab1.tistory.com/34 [네트워크] 서브넷, 서브넷마스크, 서브넷팅이란? | 서브넷팅 예제 서브넷의 등장 배경 흔히 사용되는 IPv4 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 A 클래스를 할당한다고 하면 16,777,214개의 호스 code-lab1.tistory.com 서브넷을 왜 만들지? IP주소의 구조 - 위와 같은 사설주소가 있을 때 - 전체는 32bit - .을 기준으로 8bit씩 -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56가지 - unsigned int → 0 ~ 255 - 255를 2진수(8bit)로 나타내면 11111111 - 서브넷 마스크를 이야기할 때는 비트연산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 A..

[네트워크기초이론]#35. 가래떡과 Stream

Packet - 모 교수가 packet을 굳이 '보쌈'으로 번역해서 논란 - packet은 데이터 덩어리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 '덩어리'라는 게 사실은 애매한 것 - 정확한 크기가 없음 - 정량적, 수치적으로 정확히 나타낼 수 없음 - packet은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데이터 덩어리 정도 IRP - Packet이 kernel mode programming할 때도 나옴 - Interrupt Request Packet - 위 패킷과 다른 패킷임! 덩어리가 두 부분으로 나뉨 만약 IP Packet이라면 header - IP header - L3 payload - TCP - L4 - Data ➡️ L3헤더와 L4헤더를 합쳐 packet의 헤더라고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packet의 헤더는 IP header ..

[네트워크기초이론] #34. MTU와 Packet 단편화

IP header - ★친 곳이 단편화와 관련 - protocol = 'L4 헤더가 뭐냐' 하는 내용이 주로 옴, 하지만 L3가 올 때도 있어 - next header MTU - MTU = 1,500byte 기본 제공 - MSS = MTU에서 IP header와 TCP header에 해당하는 20씩을 뺀 값 - TCP/IP packet = 40bytes 단편화 발생 시나리오 - PC와 Server는 MTU가 1,500인데 R 2번만 MTU가 1,400인 상황! - PC가 서버랑 통신할 때 R #1 → R #2 → R #3 → Server - 문제는 R #1 → R #2 로 Packet이 넘어갈 때 좋든 싫든 단편화 발생 그러면 - 1,500짜리를 Payload 부분 어느 곳을 댕강 자름 - IP, T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