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서비스를 창안한 티모시 버너스리

HTML이라는 문서 구조를 만들고
이것을 송수신할 수 있는 HTTP 통신 프로토콜도 구안
문서 간 연결고리가 마치 거미줄 같다 해서 이것을 웹서비스라고 함

문서를 다루는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
- 자료구조
- 문서
- UI
- 문서를 보거나 편집하기 위해 사람이 볼 수 있어야함
- 제어 체계
- 이 모든 것을 제어함
프로그램 개발 시 기능을 쪼개야 하는데
최소한의 규칙은 위의 셋을 쪼개서 각자의 기능을 하도록 해야함 (방법론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음)
이유? 유지보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2022년 3.0까지 나온 HTTP
하지만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이는 건 1.1
(2.0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음)
앞으로 나오는 설명은 1.1에 해당하는 설명

웹 클라이언트 (브라우저)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웹 서버를 만남

- 웹 설계시 대전제가 TCP/IP통신을 전제로 함
- 두 통신 주체간의 연결 = TCP/IP연결
- 물론 연결이 유지되지는 않음
- 이것에 기초하여 HTTP통신
HTTP 통신의 특징
- Stateless
TCP/IP 연결에서 함께 나오는 말이 '상태'
- 연결은 상태의 개념을 포함한다
- 그 위에서 작동하는 HTTP에는 상태 개념이 없다
- 이것이 문제가 되며 설계적으로 다른 문화를 야기함
URL
- uniform resource location
- resource
- HTML문서가 resource
-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모두 각자의 고유의 IP주소가 있다
- 그 주소를 알고 TCP/IP연결 후 리스소를 달라고 연결이 감
이때부터 HTTP프로토콜이 작동함

- http 통신을 하는데 기본적으로 request가 날라간다
- http 구조 상 그에 따르는 response가 온다
request에는 방법론(method)이 여러가지가 있다
- 그 중 가장 흔한 게 GET
- 웹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정보를 읽는 Read
- 리소스 주세요
그에 따르는 HTML문서가 날라감
- HTML이 웹 서버의 하드디스크(SSD 등)같은 곳에 저장되어 있음
- 그냥 그대로 읽어다 날려줌
DNS
- URL 창에 입력한 정보대로 서버에 접속하고 문서를 가져옴
- 접속은 IP주소로 한다
- 주소창에 적은 것은 URL이다
- URL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DNS(domain name service) 서버한테 URL을 던지고
DNS가 그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려준다
- URL은 서버에 해당하는 ULR이니까 서버 IP를 알려준다
HTML 읽기
HTML문서는 기존 텍스트와 달리 태그가 들어가 있다
문서를 가져와서 화면이 전환되어 HTML의 내용을 읽어야함
HTML을 받아서 브라우저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구문 분석 (parsing)
- 분석 결과를 가지고 자료구조를 생성함
- 자료구조는 비선형으로 되어 있음 (DOM)
- 비선형 트리 구조
그 다음 화면에 랜더링
- 렌더링 엔진

- 이당시 브라우저란
문서뷰어와 같다
- 다만 기존 문서뷰어와 다른 점은 '원격지'문서 뷰어이다.
출처: https://youtu.be/4Sfned8HLzk?si=1VjnKbo-ya9wBmXU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13. LAN과 WAN을 구별하는 방법 (0) | 2023.09.25 |
---|---|
[네트워크기초이론]#11. 웹 서비스 3대 요소 (0) | 2023.09.20 |
[네트워크기초이론] 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에 대하여... (0) | 2023.09.19 |
[네트워크기초이론]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0) | 2023.09.19 |
[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정리 (매우 중요!) (0)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