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선택의 핵심 원리
- 노트북에서 Chrome이라는 프로그램 실행 중
- NIC가 꽂혀 있음 →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
- wifi로도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
이 Host의 IP주소는 몇개?
- 세팅하기 나름이지만 2개
만약, 유선은 KT이고 무선은 SKT라면 (심지어 통신사도 다름)
이 상태에서 Chrome을 실행하면
- 소켓이 열림
- TCP/IP 바인딩
- NIC을 움직이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무선을 움직이는 디바이스드라이버
- 소켓을 열면 IP주소도 바인딩이 되어야함
- 편의상 NIC의 IP주소를 1.1.1.1이라 하고 무선의 IP주소를 2.2.2.2라고 한다면
- IP주소 2개
- 연결된 회선도 두 개
- 통신사도 두 개
크롬 → 인터넷 → 네이버로 접속할 때
- NIC을 통해 갈까? 무선을 통해 갈까?
- 누가 그것을 결정할까?
의사 결정 로직
- 결국 둘 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가 여러개일 때 그 중에서 선택을 해야함
➡️스위칭
- 인터페이스 선택
확인해보기
명령창
- 인터페이스에 IP주소가 박혀있음
- 어떤 IP주소는 어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기 마련이다
"어떤 네트워크에 대해서 마스크했을 때 그 결론이 게이트웨이에 해당된다면 인터페이스로 가라" 뭐 이런 얘기..?
- 매트릭 값! = 비용(돈)
- 인터넷에 연결된 게 여러개가 있더라도 매트릭 값이 가장 적은 것에서 일치하는 게 많을 수록 경로 선택에 대한 규칙이 있다..?
- 위 테이블에 근거해서 어디로 갈지 결정
인터페이스 선택 기준
PC에 한정해서 말하면
주로 매트릭 값으로 결정된다.
- 매트릭 값은 기본적으로 비용이다.
- 비용은 적게 들 수록 좋음
출처: https://youtu.be/094pRrSlYKg?si=CrWmHkPtB2INHann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 초창기 웹 서비스 구조 (0) | 2023.09.20 |
---|---|
[네트워크기초이론] 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에 대하여... (0) | 2023.09.19 |
[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정리 (매우 중요!) (0) | 2023.09.17 |
[네트워크기초이론]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이다. (0) | 2023.09.04 |
[네트워크기초이론]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0)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