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k1gyh9BlOT8&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
소리가 너무 작아여,,
강사님은 OSI 7 Layer 먼저 공부하지 말라 하심
이유?
완벽하게 개념을 다루고 있다.
개념 vs 사실
- 개념(abstraction) : 'Abstraction'은 특정한 사물이나 개념의 본질적인 특성만을 강조하여 간략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이 단어는 데이터나 기능을 단순화하는 과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Ex. 사람
- 사실(implementation): "Implementation"은 "구현"을 의미합니다, 특히 컴퓨터 과학이나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는 아이디어나 알고리즘을 실제 코드나 시스템으로 만드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Ex. 김철수 (사람이라는 개념의 실체)
- "이상의 실체"
- OSI 7Layer가 "이상"
- 내가 만약 김철수와 친해지고 싶다면 '사람'에 대해 알아봐야 할까, '김철수'에 대해 알아봐야할까?를 생각해봐라
컴퓨터의 구조
3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DoD(Department of Defense - 미국 국방부)
- 접속단
- 네트워크단
- 전송단
- 어플리케이션 단
프로세스 - 커널의 구성 요소를 유저 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추상화할 때 file의 형태
어떤 프로세스가 어떤 프로토콜(커널의 구성요소)을 추상화했다.
이게 네트워크와 관련됐다면 file이 아니라 🌟Socket🌟
TCP/IP Socket이다 하면 TCP를 유저모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 형식으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가 속해 있는 것
운영체제 - window 수준의 프로토콜이 구현되어있음
전송, 네트워크라는 abstraction을 어떻게 implimentation 했나? → TCP / IP
하드웨어를 움직일 수 있는 Device Driver
네트워크 랜 카드 - Network Interface Card
웹 개발도 ? → HTTP (7계층)
식별자
- Access = MAC
- Network = IP address
- Transport = Port number
"무엇에 대한 식별자일까?"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이다. (0) | 2023.09.04 |
---|---|
[네트워크기초이론]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Host, Switch, Network 이들의 관계에 대해... (0) | 2023.09.02 |
[네트워크기초이론] MAC주소, IP주소, Port번호가 식별하는 것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