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고속도로
스위치와 스위칭
- 스위치: 네트워크를 이루는 호스트
"네트워크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 스위칭: 스위치가 하는 일
경로 선택, 인터페이스 선택
선택 = 여러개 중 하나를 고른다!
자동차가 출발지에서 출발해서 목적지까지 감
A라는 지점은 교차로 (B, C, D, E, F 모두 마찬가지)
교차로에 도착하면 자동차는 직진할지 위로 갈지, 아래로 갈지, 뒤로 갈지 선택해야함
(네비게이션이나 지도가 없다면) 교차로에 도착했을 때 무엇을 보고 목적지를 향해 갈까?
바로 이정표! 이정표는 경로 선택의 근거가 된다.
예를 들어 A →B→E→D→목적지 로 갔다면 이게 전체적인 경로
- 교차로 = 네트워크 상에서는 네트워크 스위치
- 길을 선택 = 경로, 인터페이스 선택 = 스위칭
어떤 길을 선택하면 목적지에 가지도 못함
어떤 길을 선택하면 돌아 가야함
제일 이상적으로 가려면 A→D→목적지
→이게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어떻게 하면 가장 최적화된 길로 갈 수 있을까?"
Internet = Router의 집합체
-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L3 스위칭을 한다.
이 도로 전체를 인터넷이라고 한다면
교차로는 라우터
교차로를 기준으로 연결된 도로(선)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어떤 정보가 도착을 하면 도착 지점으로부터 n개 중의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골라야 함 이것이 스위칭
이 때 가장 효율적인 길로 가려면 라우터들끼리 통신하여 정함
최적화된 경로를 정함
자동차는 Packet
Packet단위의 데이터가 교차로인 라우터에 도착하면 경로 선택인 스위칭을 한다.
그 중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서 목적지에 가는데
그 때 근거가 되는 이정표를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한다.
인터넷은 라우터 몇 개가 손상되었다고 해서 네트워크 전체가 망가지지 않는다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0) | 2023.09.19 |
---|---|
[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정리 (매우 중요!) (0) | 2023.09.17 |
[네트워크기초이론]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Host, Switch, Network 이들의 관계에 대해...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