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kGst-VftN1w&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index=3
Host
- 기본적으로는 '컴퓨터'다.
이것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다면 HOST이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Network = infra structure)
1. 네트워크 이용하는 이용 주체로서의 HOST
- End - Point (단말)
기능에 따라 Peer, Server, Client로 나눔
- Client, Server가 가장 흔하지만 그런 개념 없이 존재하면 Peer라고도 한다
2.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는 HOST
= 스위치
- Router
-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고 있는 컴퓨터다
- 경로 찾기 위해 스위칭
- F/W (Fire Work, 방화벽)
- 보안을 위해 스위칭 (보안 스위치)
- IPS(보안 장비)
- 보안을 위해 스위칭 (보안 스위치)
Network
= Internet ←인터넷을 이루는 핵심 구성요소 : Router + DNS
- 인터넷은 라우터의 거대한 집합체
- Router
- 역할: 스위치 (하는 일: 스위칭)
스위칭
- 가격은 위로 갈수록 비싸진다
- 단순히 전기적 신호를 다룰거냐,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거냐 (레이어가 높아질 수록 연산이 복잡해짐)
"그렇다면 공유기는 뭘까?, 스위치라고 말할 수 있을까?"
'백엔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이다. (0) | 2023.09.04 |
---|---|
[네트워크기초이론]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0) | 2023.09.03 |
[네트워크기초이론] MAC주소, IP주소, Port번호가 식별하는 것 (0) | 2023.09.02 |
[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를 배우려는 사람들을 위해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