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52

[네트워크기초이론]#13. LAN과 WAN을 구별하는 방법

범위 구분 * AN = Area Network * L = Local = 지역 * W = Wide = 광역 ➡️지역의 크기 규모로 나눈 것? 크다 작다는 상대적인건데 어디까지가 L이고 어디까지가 W일까? 강사님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새로운 규칙을 만듦 (= 오늘 내용은 강사님 뇌피셜임을 기억하기) 컴퓨터를 이루는 두 개의 구성요소 H/W - Physical: 하드웨어를 설명하는 단어 S/W - Logical: 소프트웨어를 설명하는 단어 - Logical의 또 다른 이름 'Virtual' (IT에서 먹힘) - IP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인터넷은 로지컬 네트워크 = 인터넷은 virtual network(가상 네트워크) = 인터넷은 논리적인 네트워크 - 인터넷은 WAN (전 지구가 쓰는 광대역 네..

[네트워크기초이론]#11. 웹 서비스 3대 요소

문서를 가져와서 보여주고,, 문서 속 하이퍼링크를 통해서 이동하고,, 단방향 작용 TV보듯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정보가 흘러감 - 클라이언트는 주세요 - 서버는 받아라 - 문서를 계속 읽을 수 있는 단방향 형태 - 도서관에서 책 빌려다 읽는 것 같은 것 CSS 문서를 꾸미고 싶음 → HTML의 성격이 많이 바뀜 HTML의 기능이 하나 추가되는데 화면에 예쁘게 보여주는 것 둘을 섞어 놓으면 유지보수하기 어려우니 화면에 보여지는 / 렌더링 부분만 따로 뗀다 그게 CSS (HTML은 버전5, CSS는 버전3까지 나옴 -2022년) CSS를 새로운 파일로 만들었고 이와 더불어 사진 같은 미디어 파일도 있음 - 문서 보내지는(날라가는) 순서도 중요! - 파싱해서 구문 분석을 하고 렌더링을 css로 예쁘게 렌더링하..

[네트워크기초이론] 초창기 웹 서비스 구조

Web서비스를 창안한 티모시 버너스리 HTML이라는 문서 구조를 만들고 이것을 송수신할 수 있는 HTTP 통신 프로토콜도 구안 문서 간 연결고리가 마치 거미줄 같다 해서 이것을 웹서비스라고 함 문서를 다루는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 자료구조 문서 UI 문서를 보거나 편집하기 위해 사람이 볼 수 있어야함 제어 체계 이 모든 것을 제어함 프로그램 개발 시 기능을 쪼개야 하는데 최소한의 규칙은 위의 셋을 쪼개서 각자의 기능을 하도록 해야함 (방법론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음) 이유? 유지보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2022년 3.0까지 나온 HTTP 하지만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이는 건 1.1 (2.0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음) 앞으로 나오는 설명은 1.1에 해당하는 설명 웹 클라이언트 (브라우..

[네트워크기초이론] 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에 대하여...

웹 서비스 구조 구조를 이루는 요소 하나하나에 접근하지 말고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웹(Web)의 탄생 배경 창시자: 티모시 버너스 리 - 영국인 - 2016년에 튜링상 수상 (컴퓨터 공학의 노벨상 같은 것) (추가) (팀 버너스리, 스티브잡스, 빌게이츠) 논문 - CERN 연구소 연구원 (입자물리연구소) - 활동 시기의 컴퓨터는 아주 옛날 방식. 전산화가 막 이루어지던 시기 문자 정보를 담을 때 일반 text파일로 저장 - 연구원이다보니 논문을 자주 다룸 - 논문을 쓰고 이런저런 것들을 참고하다보면 여기저기로 넘어가며 읽어야함 - 읽어야할 논문을 검색해야함 - 이제 막 인터넷이 태동하던 시기. - 논문은 하나로 끝나지 않고 그 다음으로 읽어야할 연결/관계 문제가 있다. "참고 문헌에 있는 ..

[네트워크기초이론]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원리와 기준

인터페이스 선택의 핵심 원리 - 노트북에서 Chrome이라는 프로그램 실행 중 - NIC가 꽂혀 있음 →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 - wifi로도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 이 Host의 IP주소는 몇개? - 세팅하기 나름이지만 2개 만약, 유선은 KT이고 무선은 SKT라면 (심지어 통신사도 다름) 이 상태에서 Chrome을 실행하면 소켓이 열림 TCP/IP 바인딩 NIC을 움직이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무선을 움직이는 디바이스드라이버 - 소켓을 열면 IP주소도 바인딩이 되어야함 - 편의상 NIC의 IP주소를 1.1.1.1이라 하고 무선의 IP주소를 2.2.2.2라고 한다면 IP주소 2개 연결된 회선도 두 개 통신사도 두 개 크롬 → 인터넷 → 네이버로 접속할 때 NIC을 통해 갈까? 무선을 통해 갈까? 누가 ..

[네트워크기초이론] 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정리 (매우 중요!)

네트워크를 이야기할 때 매번 나오는 단어는 Packet (= 데이터 덩어리) - 커널을 추상화한 인터페이스가 파일 → 소켓! 파일 길이 Ex) 만약 내가 MS Word로 문서를 작성한다 했을 때 - 길이가 얼마까지 늘어날까? 타자 많이 치면 계속 늘어남, 물론 운영 체제가 지원하는 한계는 있지만! Stream - 유튜브 영상도 동영상 스트림 → 녹화 한 시간 하면 한 시간 후에 끝남 - 시작은 있는데 끝을 모른다 (프로그램 개발에 따라 다름) -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 무엇보다 길다 짧다는 상대적인 것이지만 IP수준에서 논하는 단위보다 길어질 수 있다. - TCP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단위: Segment - IP 수준에서 논하는 단위: Packet - NIC 단위에서 다루는 데이터 단위: Frame ..

[네트워크기초이론] Switch가 하는 일은 Switching 이다.

네트워크 ≒ 고속도로 스위치와 스위칭 - 스위치: 네트워크를 이루는 호스트 "네트워크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 스위칭: 스위치가 하는 일 경로 선택, 인터페이스 선택 선택 = 여러개 중 하나를 고른다! 자동차가 출발지에서 출발해서 목적지까지 감 A라는 지점은 교차로 (B, C, D, E, F 모두 마찬가지) 교차로에 도착하면 자동차는 직진할지 위로 갈지, 아래로 갈지, 뒤로 갈지 선택해야함 (네비게이션이나 지도가 없다면) 교차로에 도착했을 때 무엇을 보고 목적지를 향해 갈까? 바로 이정표! 이정표는 경로 선택의 근거가 된다. 예를 들어 A →B→E→D→목적지 로 갔다면 이게 전체적인 경로 - 교차로 = 네트워크 상에서는 네트워크 스위치 - 길을 선택 = 경로, 인터페이스 선택 = 스위칭 어떤 길을..

[네트워크기초이론]개발자 입장에서 Port번호 이해하기

Port번호의 의미 1. Process 식별자 2. Service 식별자 3. Interface 번호 Process 식별자 - 내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프로세스가 존재하기 마련 - 운영체제 구성요소 안에 TCP/IP, Device Driver, NIC 등이 있다 - 커널에 TCP가 implementation 되어있는데 이것을 User mode application이 접근할 수 있도록 interface 제공 기본적으로 본질은 file이지만 Protocol을 추상화했기 때문에 file이 아니라 socket이라고 함 - socket은 파일 같은 건데, socket을 생성할 때 TCP socket일 때 socket에 attach 되는 정보 중 하나가 Port 번호 - TCP/IP Port 번호는 기본적으로 1..

[네트워크기초이론]IPv4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IP주소와 Net_mask" IP주소 Host에 대한 식별자 사람으로 치면 - 대한민국의 행정 체계 내에 있는 한 사람(국민)을 유니크하게 식별하는 주민등록번호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 - Protocol: 통신 규약(규정, 규칙) 버전 1. IPv4 - 32bit 주소 체계를 씀 - 나올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는 2^32 = 대략 43억 - 인터넷이라는 세상은 이 세계 속에서 그 세상에 참여할 수 있는 Host의 갯수가 43억개로 제한 - 전세계의 모든 컴퓨터가 사용하는 IP가 43억개밖에 안될까? 훨씬 많음, 43억개로는 부족함 그래서 다양한 방법과 기술로 커버 - 현재는 IPv4를 가장 많이 씀 (IPv6를 쓰는 구간도 있지만 흔하지 않음) 2. IPv6 - 128bit 주..

[네트워크기초이론]Host, Switch, Network 이들의 관계에 대해...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kGst-VftN1w&list=PLXvgR_grOs1BFH-TuqFsfHqbh-gpMbFoy&index=3 Host - 기본적으로는 '컴퓨터'다. 이것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다면 HOST이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Network = infra structure) 1. 네트워크 이용하는 이용 주체로서의 HOST - End - Point (단말) 기능에 따라 Peer, Server, Client로 나눔 - Client, Server가 가장 흔하지만 그런 개념 없이 존재하면 Peer라고도 한다 2.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는 HOST = 스위치 - Router - 네트워크 자체를 이루고 있는 컴퓨터다 - 경로 찾기 위해..